-
물음표 기호 ' ? '를 사용하여 Null이 될 수 있는 여부를 컴파일러가 미리 감지하게 함.
-
NPE처리를 위해 Nullable타입을 명시적으로 지원
-
public void strLen(@NotNull String s1, @Nullable String s2) {...}
-
fun strLen(s1 : String, s2 : String?) {...}
-
Ex)
fun strLen(s : String) = s.length
fun strLenSafe(s : String?) = s!!.length //모순...
fun strLenSafe2(s : String?) = if(s != null) s.length else 0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
println(strLen("abc")) // 3
println(strLenSafe("abc")) // 3
println(strLenSafe2("abc")) // 3
val x: String? = null
println(strLenSafe(x)) // ?
}
Kotlin에서는 NPE가 일어나지 않는가?
- NullPointerException을 상속한 Kotlin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
- 인자로 넘겨준 값이 Nullable이라면 함수내에서도 Nullable 통일!
public open class KotlinNullPointerException : NullPointerException { constructor() constructor(message: String?) : super(message) }
- Safe Call 연산자는 ' .? ' 을 붙여 사용
- Null검사와 메소드 호출을 한 번의 연산으로 수행
Ex.1) Safe Call 연쇄시키기1
fun printAllCaps(s: String?) {
val allCaps: String? = s?.toUpperCase()
println(allCaps)
}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
printAllCaps("abc") //ABC
printAllCaps(null) //null
}
Ex.2) Safe Call 연쇄시키기2
class Address(val streetAddress: String, val zipCode: Int,
val city: String, val country: String)
class Company(val name: String, val address: Address?)
class Person(val name: String, val company: Company?)
fun Person.countryName(): String {
val country = this.company?.address?.country
return if (country != null) country else "Unknown"
}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
val person = Person(name = "Dmitry", company = null)
println(person.countryName())
}
생각해보자!
위의 Safe Call 연산자를 보고 처음엔 읽기 불편했지만 아래의 예시를 보고 느낌이 왔다.
val country = this.company?.address?.country return if (country != null) country else "Unknown"저 부분만 Java로 변환하면
if(this.getCompany() != null && this.getCompany().getAddress() != null && this.getCompany().getAddress().getCountry() != null) { String country = this.getCompany().getAddress().getCountry(); return country; }else{ return "Unknown"; }
- 널복합 연산자(Null coalescing) 라고도 함
- 이항연산자로 좌항을 계산한 값이 Null인 경우, 특정 값(우항)으로 값을 할당
- 예외 처리에 유용
- 삼항 연산자 + Null 처리(Kotlin에서는 삼항 연산자를 지원하지 않음)
Ex .1) Safe Call 연산자 vs Elvis 연산자
//Safe Call 연산자
fun Person.countryName(): String {
val country = this.company?.address?.country
return if (country != null) country else "Unknown"
}
//Elvis 연산자
fun Person.countryName() = this.company?.address?.country ?: "Unknown"
Ex.2) Elvis 연산자를 이용한 예외 처리
class Address(val streetAddress: String, val zipCode: Int,
val city: String, val country: String)
class Company(val name: String, val address: Address?)
class Person(val name: String, val company: Company?)
fun printShippingLabel(person: Person) {
val address = person.company?.address
?: throw IllegalArgumentException("No address")
with (address) {
println(streetAddress)
println("$zipCode $city, $country")
}
}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
val address = Address("Elsestr. 47", 80687, "Munich", "Germany")
val jetbrains = Company("JetBrains", address)
val person = Person("Dmitry", jetbrains)
printShippingLabel(person) //Elsestr. 47
//80687 Munich, Germany
printShippingLabel(Person("Alexey", null)) //java.lang.IllegalArgumentException: No address
}
-
as?는 변환 가능한 타입인지 검사 후, 아니면 Null값 반환
class Person(val firstName: String, val lastName: String) { override fun equals(o: Any?): Boolean { val otherPerson = o as? Person ?: return false return otherPerson.firstName == firstName && otherPerson.lastName == lastName } override fun hashCode(): Int = firstName.hashCode() * 37 + lastName.hashCode() } 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 val p1 = Person("Dmitry", "Jemerov") val p2 = Person("Dmitry", "Jemerov") println(p1 == p2) //true println(p1.equals(42)) //false println("p1 HashCode : " + p1.hashCode()) println("p1 HashCode : " + p2.hashCode()) }
심화학습.. //혼자 다 설명할 수 없음...
위의 코드를 보면, 뜬금없이 hashCode를 재정의한 것을 볼 수 있는데
그 이유를 간략히 설명하자면, Effective Java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.
equals를 재정의한 클래스에서는 hashcode도 재정의 해야한다.
그렇지 않으면 hash를 사용하는 HashMap, HashSet과 같은 컬렉션의 원소로 사용될 때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.따라서, eqauls를 재정의 하는 경우 다음 3가지 규약을 지켜야한다.
- equals비교에 사용되는 정보가 변경되지 않았다면, 객체의 hashcode 메서드는 몇번을 호출해도 항상 일관된 값을 반환해야 한다. (단, Application을 다시 실행한다면 값이 달라져도 상관없다. (메모리 소가 달라지기 때문))
- equals메서드 통해 두 개의 객체가 같다고 판단했다면, 두 객체는 똑같은 hashcode 값을 반환해야 한다.
- equals메서드가 두 개의 객체를 다르다고 판단했다 하더라도, 두 객체의 hashcode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필요는 없다. (Hash Collision) 단, 다른 객체에 대해서는 다른 값을 반환해야 해시테이블의 성능이 좋아진다.
참고
-
HashCode() 재정의 이유:
https://jaehun2841.github.io/2019/01/12/effective-java-item11/#%EC%84%9C%EB%A1%A0
-
37을 곱한 이유:
- 널 아님 단언은 ' !! '로 표현
- 컴파일러에게 "나는 이 값이 null이 아님을 잘 알고있으며, 예외가 발생해도 감수하겠다"라는 표현
Ex.1) Swing(프레임워크)에서 널 아님 단언 사용
class CopyRowAction(val list: JList<String>): AbstractAction(){
override fun isEnabled(): Boolean = list.selectedValue != null
override fun actionPerformed(e : ActionEvent){
val value = list.selectedValue!!
}
}
-
한 줄에 나란히 널 아님 단언이 쓰였을 경우, 어떤 식에서 발생한 예외인지 알 수 없으니 나란히 사용은 피하자
person.company!!.address!!.country
- 널이 될 수 있는 값(Nullable)을 널이 아닌 값(NotNull)만 인자로 받을 때, 용이하게 사용
- 여러 값에 대한 null 체크 시, let을 중첩해서 사용하면 코드가 복잡해지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.
- (if (something != null) 사용을 권장)
Ex.1) let을 사용해 Null이 아닌 인자로 함수 호출하기
fun sendEmailTo(email: String) {
println("Sending email to $email")
}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
var email: String? = "yole@example.com"
email?.let { sendEmailTo(it) } //Sending email to yole@example.com
email = null
email?.let { sendEmailTo(it) }
}
let을 호출하면 람다의 인자인 it은 널이 될 수 있는 타입으로 추론됨
- lateinit 변경자를 사용하면 Nullable, NotNull을 난잡하게 사용하지않고 프로퍼티를 나중에 초기화 할 수 있다.
- 프로퍼티가 val인 경우는 적용할 수 없고, 항상 var여야만 한다.
import org.junit.Before
import org.junit.Test
import org.junit.Assert
class MyService {
fun performAction(): String = "foo"
}
class MyTest {
private var myService: MyService? = null
//lateinit 변경자 선언 시
private lateinit myService : MyService
@Before fun setUp() {
myService = MyService()
}
@Test fun testAction() {
Assert.assertEquals("foo", myService!!.performAction())
//lateinit 변경자로 선언 시,
Assert.assertEquals("foo", myService.performAction())
}
}
- lateinit에 대한 초기화진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ex) ::myService.isInitialized 형태로 분기처리하여 확인할 수 있다
- null이 될 수 있는 타입에 대한 확장함수를 정의하면, Safe Call을 하지않아도 된다.
Ex.1) Null이 될 수 있는 수신 객체에 대해 확장 함수 호출
fun verifyUserInput(input: String?) {
if (input.isNullOrBlank()) { //<- input이 Nullable이지만 Safe Call 연산자를 쓰지않음
println("Please fill in the required fields")
}
}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
verifyUserInput(" ") //Please fill in the required fields
verifyUserInput(null) //Please fill in the required fields
}
//String에서의 확장함수 정의
public inline fun CharSequence?.isNullOrBlank(): Boolean {
contract {
returns(false) implies (this@isNullOrBlank != null)
}
return this == null || this.isBlank()
}
- Kotlin에서는 함수나 클래스의 모든 타입 파라미터는 기본적으로 널이 될 수 있다.(t를 Any 타입으로 추론하기 때문)
- 타입 파라미터는 타입 상한을 지정하지 않는다면 Null이 될 수 있다.(t를 Any?의 타입으로 추론하기 때문)
Ex.) 널이 될 수 있는 타입파라미터와 상한 지정
//널이 될 수 있는 타입 파라미터
fun <T> printHashCode(t: T) {
println(t?.hashCode())
}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
printHashCode(null) //null
}
//상한을 지정한 타입 파라미터
fun <T : Any> printHashCode(t: T) {
println(t.hashCode())
}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
printHashCode(null)
//Type parameter bound for T in fun <T : Any> printHashCode(t: T): Unit is not satisfied
}
참고: 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54760309/why-i-cant-assign-nullable-type-to-any-in-kotlin
- 플랫폼 타입은 Kotlin이 널 관련 정보를 알 수 없는 Java 타입을 지칭
- Kotlin은 보통 NotNull타입의 값에 대해 널 안정성을 검사하지만 플랫폼 타입의 값에 대해서는 경고하지않음
//Java
public class Person{
private final String name;
public Person(String name){
this.name = name;
}
public String getName(){
return name;
}
}
//Kotlin
fun yellAtSafe(person: Person) {
println(person.name.toUpperCase() + "!!!")
//toUpperCase()의 수신객체의 person.name이 non-null인데 null이라 컴파일 에러
println((person.name ?: "Anyone").toUpperCase() + "!!!")
//ANYONE!!!
}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
yellAtSafe(Person(null))
}
전부 다 널이 될 수 있는 타입으로 하면 되지않을까?
모든 자바 타입을 널이 될 수 있는 타입으로 처리하기엔 널 안정성 검사로 인해 얻는 이익보다 쓸데없는 비용이 늘어나 프로그래머에게 타입의 널 가능성의 책임을 부여함.
- 자바클래스를 코틀린에서 상속할때, 파라미터나 반환타입의 Null처리를 결정해야함
//Java
interface StringProcessor{
void process(String value);
}
//Kotlin
class StringPrinter : StringProcessor{
override fun process(value: String){ // notnull 선언
println(value)
}
}
class NullableStringPrinter : StringProcessor{
override fun process(value: String?){ //nullable 선언
value?.let{println(it)}
}
}
- Kotlin은 원시타입과 참조타입을 구분하지 않고, 항상 같은 타입을 사용
- 대부분, Kotlin의 Int타입은 Java의 int 타입으로 컴파일 되고, Int를 타입인자로 넘기는 경우 Integer로 컴파일된다.
- 코틀린에서 null이 될 수 있는 원시 타입을 사용하면 그 타입은 자바의 래퍼 타입으로 컴파일 된다.
Ex.)
data class Person(val name: String, val age: Int? = null) {
fun isOlderThan(other: Person) : Boolean? {
if (age == null || other.age == null)
return null
return age > other.age
}
}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
println(Person("Sam", 35).isOlderThan(Person("Amy", 42))) //false
println(Person("Sam", 35).isOlderThan(Person("Jane"))) //null
}
- age는 컴파일러에 의해 널 안정성 검사를 마친 후 값을 비교가 허용되므로, age의 프로퍼티값은래퍼 타입으로 저장된다.
-
Kotlin은 Boolean을 제외한 모든 원시 타입에 대한 변환 함수를 제공
-
Kotlin은 한 타입의 숫자를 다른 타입으로 자동변환 하지 않음.
-
명시적으로 변환 메소드를 사용해야함
val i = 1 val l = Long = i // "Error: type mismatch" 컴파일 오류 발생 val i = 1 val l: Long = i.toLong() // 명시적으로 변환 메소드 사용 ---------------------------명시 이유--------------------------- val x = 1 // Int val list = listOf(1L, 2L, 3L) // Long 리스트 x in list // 묵시적 타입 변환으로 인해 false val x = 1 println(x.toLong() in listOf(1L, 2L, 3L)) //true fun foo(l: Long) = pinrtln(l) val b: Byte = 1 // 상수 값는 적절한 타입으로 해석 된다. val l = b + 1L // +는 Byte와 Long을 인자로 받을 수 있다. foo(42) // 함수 인자이므로 42를 Long으로 해석한다.
- Java는 Object, Kotlin은 Any가 널이 될 수 없는 타입의 최상위타입
- 내부적으로 Any는 자바의 java.lang.Object로 컴파일 된다.
- 모든 코틀린 클래스에는 toString, equals, hashCode 라는 3개의 메소드가 있다. 하지만 java.lang.Object에 있는 다른 메소드(wait나 notify 등)는 Any에서 사용할 수 없다. 그런 메소드를 사용하고 싶다면 java.lang.Object로 캐스트해야 한다.
- Kotlin의 Unit타입은 Java의 void와 같은 기능을 함.
fun f(): Unit{...}
fun f(){...} //fun의 기본 선언은 void라고 생각
Ex.) void 와Unit의 차이
- 반환 타입으로 Unit을 반환가능
- 타입 매개변수로 Unit을 쓸 수 있다
interface Processor<T> {
fun process(): T
}
//반환 타입으로 Unit을 묵시적으로 반환 가능
class NoResultProcessor : Processor<Unit> {
override fun process() {
// 업무 처리 코드
}
}
class ResultProcessor : Processor<Integer> {
override fun process(): Int {
// 업무 처리 코드
return someInt
}
}
Kotlin은 왜 void가 아닌 Unit을 만들었을까?
Kotlin의 Unit은 Java의 void와 다르게 두 가지 특징을 가진다
Unit은 싱글톤 인스턴스이다. 그래서 Kotlin에서 Unit이라는 키워드는 타입이면서도 동시에 객체
val unit : Unit = UnitUnit은 객체이기도 하기때문에 Any를 상속하는 서브 클래스이다.
val unit : Any = Unit
- 함수가 정상적으로 끝나지 않는 사실을 표현할 때 사용
- Nothing 타입은 아무 값도 포함하지 않음 = return이라는 행위 자체를 하지않음
Ex. 1) 함수가 리턴 될 일이 없을 경우
fun infiniteLoop(): Nothing {
while (true) {
println("Hi there!")
}
}
Ex. 2) 예외를 던지는(throw Exception)함수의 리턴 타입
fun throwException(): Nothing {
throw IllegalStateException()
}
Ex. 3) 함수의 리턴 타입이 Nothing? 일 경우
fun mayThrowAnException(throwException: Boolean): Nothing? {
return if (throwException) {
throw IllegalStateException()
} else {
println("Exception not thrown :)")
null
}
}
fun main() {
val result = mayThrowAnException(true)
if (result == null) { // Always true
println("Ignored code")
}
}
Ex.1)null이 될 수 있는 값으로 이뤄진 컬렉션
fun readNumbers(reader: BufferedReader): List<Int?> {
val result = ArrayList<Int?>()
for (line in reader.lineSequence()) {
try {
val number = line.toInt()
result.add(number)
}
catch(e: NumberFormatException) {
result.add(null)
}
}
return result
}
fun addValidNumbers(numbers: List<Int?>) {
var sumOfValidNumbers = 0
var invalidNumbers = 0
for (number in numbers) {
if (number != null) {
sumOfValidNumbers += number
} else {
invalidNumbers++
}
}
println("Sum of valid numbers: $sumOfValidNumbers")
println("Invalid numbers: $invalidNumbers")
}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
val reader = BufferedReader(StringReader("1\nabc\n42"))
val numbers = readNumbers(reader)
addValidNumbers(numbers) //Sum of valid numbers: 43
//Invalid numbers: 1
}
- List<Int?> 과 List?과 List<Int?>? 잘 구분해서 쓸 것!
-
Kotlin 컬렉션은 자바와 다르게 읽기 전용 컬렉션(Collection)과 변경가능 컬렉션(MutableCollection)이 분리되어있다.
Ex) Collection(size, iterator(), contains()) / MutableCollection(add(), remove(), clear())
fun <T> copyElements(source: Collection<T>, target: MutableCollection<T>) { for (item in source) { target.add(item) } } 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 val source: Collection<Int> = arrayListOf(3, 5, 7) val target: MutableCollection<Int> = arrayListOf(1) copyElements(source, target) println(target) //[1, 3, 5, 7] }
Ex) Thread-safe하지않은 읽기전용 Collection
//MutableCollection이 Collection 참조 val collection: Collection<Int> = arrayListOf(1, 2, 3) val mutableCollection: MutableCollection<Int> = collection error: type mismatch: inferred type is Collection<Int> but MutableCollection<Int> was expected // Collection이 MutableCollection 참조 val mutableCollection: MutableCollection<Int> = arrayListOf(1, 2, 3) val collection: Collection<Int> = mutableCollection //가능 >>> collection [1, 2, 3] >>> mutableCollection [1, 2, 3] >>> mutableCollection.add(5) >>> mutableCollection [1, 2, 3, 5] >>> collection [1, 2, 3, 5] // mutalbeCollection에 5를 추가했지만 collection에도 영향을 미친다 // 같은 객체를 다른 타입의 참조들이 가리키고 있다.
- 따라서, ConcurrentModificationException등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, 다중 스레드 환경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 그 데이터를 적절히 동기화 하거나 동시 접근을 허용하는 데이터 구조를 활용해야한다.
- 코틀린에서 읽기 전용인 Collection으로 선언된 객체라도 자바코드에서는, 이를 구분하지 않으므로 수정가능
- 코틀린 컴파일러가 컬렉션이 어떤 일을 하는지 정확한 분석이 어려움
- 어차피 ImmutableList가 나와도 자바로 가면 변경이 가능하니 차라리 변경 가능한 컬렉션을 넘기고 명시를 정확히 해두는 것이 좋다.
//Java
public class CollectionUtils {
public static List<String> uppercaseAll(List<String> items) {
for (int i = 0; i < items.size(); i++) {
items.set(i, items.get(i).toUpperCase());
}
return items;
}
}
//Kotlin
fun printInUppercase(list: List<String>) {
println(CollectionUtils.uppercaseAll(list))
println(list.first())
}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
val list = listOf("a", "b", "c")
printInUppercase(list) //[A, B, C]
//A
}
- 자바의 콜렉션 타입은 읽기전용이나 변경 가능으로 다룰 수 있음
- 시그니처에서 콜렉션 타입을 사용한 자바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할 경우 코틀린 타입 선택 필요
- 선택 사항
- 컬렉션이 널이 될 수 있는가?
- 컬렉션의 원소가 널이 될 수 있는가?
- 오버라이드하는 메서드가 컬렉션을 변경할 수 있는가?
- 자바 인터페이스나 클래스가 어떤 맥락에서 사용되는지 정확히 알아야한다.
- 선택 사항
-
코틀린에서 배열을 만드는 방법
-
arrayOf : 함수에 원소를 넘김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 val strings = listOf("a", "b", "c") println("%s/%s/%s".format(*strings.toTypedArray())) // a/b/c }
-
arrayOfNuls : 원소타입이 널이 될 수 있는 타입인 경우에만 호출할 수 있고, 인자에 배열의 크기를 넘김
val nullStorableArray = arrayOfNulls<String>(3)
-
Array() : 배열의 크기와 람다를 인자로 받아, 람다를 호출하여 각 배열 원소를 초기화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 val squares = IntArray(5) { i -> (i+1) * (i+1) } println(squares.joinToString()) //1, 4, 9, 16, 25 }
-